가면라이더 쿠우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면라이더 쿠우가는 2000년 일본에서 방영된 특수 촬영 드라마로, 2004년 한국에서 투니버스를 통해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다. 나가노현의 유적지에서 부활한 고대 종족 구론기와 이에 맞서는 가면라이더 쿠우가의 싸움을 그린다. 주인공 고다이 유스케는 쿠우가로 변신하여 구론기에 맞서 싸우며,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 기존 특촬물의 틀을 깨는 현실적인 설정과 깊이 있는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으나,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가부토
가면라이더 가부토는 젝터를 이용해 변신하는 가면라이더 시스템을 중심으로, 클록업 시스템과 퍼펙트/하이퍼 젝터를 통해 능력을 강화하며 텐도 소우지를 비롯한 라이더들과 웜 군단의 대결을 그린 특촬 드라마이다. - 가면라이더 시리즈 - 스가타 슌
스가타 슌은 야마나시현 출신의 일본 배우로, 가면라이더 ZX 역으로 인지도를 쌓은 후 영화, 드라마 등에서 악역을 주로 연기하며 할리우드 영화에도 출연하는 등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다. - 경찰 드라마 - 더 빌
《더 빌》은 런던의 가상 경찰서 선힐을 배경으로 경찰관들의 삶과 업무를 그린 영국의 장수 경찰 드라마로,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인기 배우들을 배출하며 큰 영향을 미쳤으나 시청자 취향 변화로 종영되었고, 리부트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 경찰 드라마 - 추적자 THE CHASER
《추적자 THE CHASER》는 딸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대통령 후보에게 복수하는 형사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가면라이더 쿠우가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특촬 슈퍼히어로 픽션 초자연 액션 드라마 경찰 수사물 공포 소설 |
런타임 | 회당 23–25분 |
국가 | 일본 |
방송 네트워크 | ANN (TV 아사히) |
에피소드 수 | 49 |
원작자 | 이시노모리 쇼타로 |
각본가 | 아라카와 나루히사 |
감독 | 이시다 히데노리 |
프로듀서 | 시미즈 유미 (TV 아사히) 스즈키 타케유키 (토에이) 타카테라 시게노리 (토에이) |
작곡가 | 사하시 도시히코 |
최초 방송일 | 2000년 1월 30일 |
최종 방송일 | 2001년 1월 21일 |
오프닝 테마 | "가면라이더 쿠우가!" (다나카 마사유키 노래) |
엔딩 테마 | "푸른 하늘이 되다" (하시모토 진 노래) |
출연 | 오다기리 조 가츠라야마 신고 무라타 카즈미 와카나 치자키 기타로 나나모리 미에 우라이 켄지 가오리 미즈시마 노부유키 요네야마 다카시 마츠야마 에리 다나카 |
제작사 | TV 아사히 아사츠-DK 토에이 컴퍼니 |
관련 작품 | 가면라이더 Black RX 가면라이더 J 가면라이더 아기토 |
추가 정보 | |
원제 | 仮面ライダークウガ (가면 라이더 쿠우가) |
언어 | 일본어 |
시대 설정 | 2000년 1월 29일 - 2001년 4월 27일 |
음성 형식 | 스테레오 방송 |
방송 분량 | 30분 |
방송 횟수 | 49회 |
방송 시간 | 일요일 오전 8:00 - 8:30 |
방송망 | TV 아사히 계열 |
특징 |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 제1작 |
나레이터 | 타치키 후미히코 |
2. 배경
서기 1999년 7월 18일, 나가노현 중앙 알프스의 구로가타케 유적에서 지각 변동으로 드러난 석관이 열리면서 수수께끼의 존재, 그론기( グロンギ|구론기일본어 )가 깨어난다. 이들은 발굴 조사단을 전멸시키고 동료들을 부활시킨다. 2000년, 유적지에서 발생한 의문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던 나가노현 경찰 형사 이치조 카오루는 현장에서 모험가 청년 고다이 유스케와 만난다. 유스케는 유적에서 발굴되어 경찰서에 보관 중이던 벨트 형태의 유물을 보고 고대 전사의 환영을 경험한다. 이후 나가노 시 근교에서 그론기가 사람들을 습격하기 시작하자, 유스케는 벨트를 착용하고 '''가면라이더 쿠우가'''로 변신하여 그론기 '즈・구문・바'를 물리친다. 그는 사람들의 웃음을 지키기 위해 부활한 괴인들과 싸울 것을 결의하며, 이후 쿠우가와 그론기는 "미확인 생명체"로 불리며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된다.
본 작품은 평범한 청년 고다이 유스케( 五代 雄介|고다이 유우스케일본어 )가 고대의 전사 쿠우가로 변신하여, 현대에 부활한 전투 종족 그론기( グロンギ일본어 )로부터 사람들의 미소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다.
아주 오래전, 잔인한 그론기 일족은 평화로운 린토 일족을 위협했다. 한 린토 전사가 쿠우가의 힘을 얻어 그론기를 물리치고 그들의 지도자를 동굴 속에 봉인했다. 현대에 이르러 쿠우가의 신비로운 돌 벨트가 발굴되면서, 그론기들은 린토의 후손인 인간들을 상대로 잔혹한 살인 게임을 다시 시작한다. 다재다능한 청년 고다이 유스케는 이 벨트에 이끌려 새로운 쿠우가가 되고, 사람들의 행복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경찰과 협력하여 그론기와 싸운다.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유스케는 쿠우가와 그론기 지도자 사이에 얽힌 충격적인 진실에 다가가게 된다.
텔레비전 시리즈로는 『가면라이더 BLACK RX』 종료 이후 10년 4개월 만이며, 텔레비전 시리즈를 제외하면 『가면라이더 J』 이후 6년 만에 제작된 『가면라이더』 작품이다. 동시에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에 해당한다. "쿠우가"(한자 표기 "'''공아'''"(空我))라는 이름은 이시노모리 프로 사장 오노데라 아키라가 "한자로 쓸 수 있는 이름"이라는 제안을 받아 사슴벌레의 일본어 발음에서 영감을 얻어 지었다.
쇼와 가면라이더 시리즈(이하 쇼와 라이더)와는 세계관이 완전히 새롭게 설정되었지만, 대사나 설정 곳곳에는 쇼와 라이더에 대한 오마주가 담겨 있다. 쇼와 라이더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개조 인간인 가면라이더와 적 괴인", "세계 정복을 노리는 악의 비밀결사", "전투원" 같은 기존 설정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특히 "개조 인간" 설정은 의료 기술 발달로 장기 이식 등이 보편화된 현실을 고려하고, 토에이 측에서도 "개조로 인한 어두운 그림자를 가진 주인공을 만들고 싶지 않다"는 의향에 따라 폐지되었으며, 이는 이후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에도 이어졌다. 극 중에서 "가면라이더"라는 명칭이 직접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기존 특촬 히어로 프로그램에서 보기 어려웠던 새로운 시도들이 많이 적용되었다. 현실감을 높여 일상 속 공포를 연출하고, 특촬 히어로물의 모순점을 줄이기 위해 설정의 정합성을 중시했다. 이에 따라 "그론기족은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다", "쿠우가가 경찰과 협력한다", "기술명을 외치지 않는다" 등의 설정이 도입되었다. 이야기 전개 방식에서도 기존에 주목받지 못했던 "시간이 흐름에 따른 주변 인물들의 변화"나 "사회에서 히어로와 악의 존재가 어떻게 인식되는지" 등을 그려내며, 히어로 드라마뿐만 아니라 일반 드라마의 관점도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 때문에 한 에피소드를 30분 안에 충분히 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기본적으로 전후편의 "2화 1 에피소드" 형식을 채택했으며, 이 형식은 이후 시리즈에도 계승되었다.
상업적인 측면에서는 변신 벨트 등의 인기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드라마를 중시하는 작극으로 인해 전투 장면이 극히 짧은 회차가 많았다. 10월에 발매되었던 쿠우가의 최종 형태인 얼티메이트 폼이 유스케가 본 환영을 제외하면 다음 해 1월 최종회 직전까지 극중에 등장하지 않는 (등장 횟수도 적었다) 전개가 펼쳐졌다. 반대로 스폰서인 완구 회사 담당자도 알지 못했던 신 형태(어메이징 마이티)가 등장하여, 급하게 그 상품이 개발・발매되는 등, 판촉 프로그램으로서도 이례적인 점이 많았다. 또한, 최종회(제49화)에서는 A파트와 B파트 사이에 CM을 삽입하지 않고 ED까지 방송했으며, 변신 후의 주역 히어로의 등장이나 전투 장면이 없고, 주인공 고다이 유스케의 등장도 극히 적었다.
본 작품 이후, 크로스 프로그램 (방송 시작 직전에 삽입되는 영상)이 빈번하게 변경되었다. 또한, 제공 텔롭의 나레이션은 출연자가 교대로 담당하고 있다. 기존 시리즈와는 달리, 나레이션은 차회 예고와 총집편에만 한정되었다.
3. 등장인물
주인공 유스케는 모험을 사랑하는 밝은 성격의 소유자로,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긴다. 그의 곁에는 대학 친구이자 린트 문자 해독을 돕는 고고학 연구자 사와타리 사쿠라코( 沢渡 桜子일본어 ), 여동생 고다이 미노리( 五代 みのり일본어 ), 그리고 찻집 '포레포레'의 주인 카자리 타마사부로( 飾 玉三郎일본어 )처럼 그를 지지하고 돕는 인물들이 있다.
그론기는 '미확인 생명체'로 불리며 사회에 큰 위협이 되는데, 이에 맞서 일본 경찰은 '미확인 생명체 합동 수사 본부'를 설치하여 대응한다. 특히 나가노현 경찰 소속의 형사 이치조 카오루( 一条 薫|이치죠 카오루일본어 )는 쿠우가의 정체를 아는 핵심 조력자로서, 유스케와 깊은 신뢰 관계를 맺고 그론기와의 싸움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법의학자 츠바키 슈이치( 椿 秀一|쓰바키 슈이치일본어 ), 과학자 에노키다 히카리( 榎田 ひかり일본어 ) 등 여러 전문가가 경찰과 협력하여 쿠우가를 돕는다.
적인 그론기는 운 다그바 제바( ン・ダグバ・ゼバ|은·다구바·제바일본어 )를 정점으로 한 계급 사회를 이루고 있으며, '게겔'( ゲゲル|게임일본어 )이라는 잔혹한 살인 게임을 통해 현대 인류를 위협한다. 이들은 단순한 괴물이 아닌,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가진 고대의 종족으로 묘사된다.
또한, 유스케가 변신하는 쿠우가는 현대에 처음 나타난 것이 아니라, 초고대에 그론기를 봉인했던 선대 전사가 존재했음이 밝혀진다. 이 선대 쿠우가는 모든 그론기를 봉인한 후, 스스로 석관에 잠들어 봉인을 지키려 했다.
3. 1. 주인공과 주변 인물
: 홋카이도 출신의 24세(작중 25세가 됨) 모험가. 1975년3월 18일생, 혈액형 O형. 밝고 긍정적인 성격으로, "모두의 미소를 지키기 위해" 싸우는 것을 신조로 삼고 있다. 부모님을 여의고 현재는 찻집 '포레포레'에 신세를 지고 있다.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2000개의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그론기와의 싸움 중 유적에서 발견된 벨트 아클을 통해 쿠우가로 변신하는 능력을 얻게 되는데, 이것이 그의 2000번째 기술이 되었다. 처음에는 폭력을 사용하는 것에 망설임을 보였으나, 사람들을 지키겠다는 결의를 다지고 그론기와 맞서 싸운다. 쿠우가를 상징하는 린트 문자를 좋아하여 자신의 옷이나 바이크(트라이체이서 2000, 비트체이서 2000)에 새기고 다닌다. 작중 대부분의 인물에게는 '미확인 생명체 4호'로 불리며, 소수의 주변 인물을 제외하고는 그의 정체를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모든 싸움이 끝난 후, 다시 모험을 떠난다.
: 나가노현 경찰 경비과 소속의 25세(작중 26세가 됨) 형사(경위). 1974년4월 18일 나고야 출생. 나가노현 구로가타케 유적에서 그론기와 조우한 것을 계기로 경시청에 설치된 '미확인 생명체 합동 수사 본부'에 파견된다. 유스케가 쿠우가임을 아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원칙을 중시하는 진지하고 강직한 성격이지만, 유스케를 돕기 위해서는 규칙을 넘어서는 유연성을 보이기도 한다. 그론기와의 싸움을 통해 유스케와 깊은 신뢰 관계를 구축하며 든든한 조력자가 된다. 그론기 사건 종결 후에는 다시 나가노 현경으로 복귀한다.
: 조난 대학 대학원생. 23세(작중 24세가 됨). 1976년10월 30일 군마현 출생, 혈액형 B형. 고고학 연구실에서 고대 문자를 연구하며, 특히 쿠우가와 관련된 린트 문자 해독에 힘쓴다. 유스케와는 대학 시절부터 친구 사이이며, 그가 쿠우가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처음에는 유스케가 싸움에 휘말리는 것을 걱정하여 협력을 망설였으나, 점차 그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린트 문자 해독을 통해 그의 싸움을 지원한다. 때때로 찻집 '포레포레'의 일을 돕기도 한다.
: 유스케의 여동생. 22세(작중 23세가 됨). 1977년9월 4일 홋카이도 출생, 혈액형 O형. 와카바 보육원에서 보육사로 일하고 있다. 오빠인 유스케가 쿠우가라는 사실을 알고 있으며, 그를 깊이 신뢰하고 지지한다. 겉보기에는 덤벙대는 면도 있지만, 실제로는 강한 내면을 지녔다. 사쿠라코와도 사이가 좋으며, 시간이 날 때 포레포레의 일을 돕는다.
: 이치조의 고등학교 동창으로, 간토 의과대학 부속 병원에 근무하는 사법 해부 전문의. 이치조를 통해 유스케가 쿠우가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유스케의 신체 검사와 부상 치료를 담당하며, 쿠우가의 신체 변화와 능력 강화에 대한 의학적 조언과 도움을 준다. 평소에는 가벼운 태도를 보이지만, 유스케의 건강과 변신으로 인한 위험을 진심으로 걱정한다. 그론기 피해자들의 부검을 통해 사건 해결에 기여하기도 한다.
: 과학 경찰 연구소의 책임 연구원. 34세. 이치조를 통해 유스케의 정체를 알게 된다. 그론기의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항하기 위한 특수 가스탄, 마킹탄, 신경 단열탄 등 다양한 특수 장비 개발을 주도하며 경찰의 작전을 지원한다. 쿠우가와 고우람에 대한 연구에도 협력한다. 연구에 몰두하는 탓에 아들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 찻집 '포레포레'의 주인. 44세(작중 45세가 됨). 1955년6월 9일생, 혈액형 A형. 유스케와 미노리 남매의 아버지와는 오랜 친구 사이였으며, 부모를 잃은 남매를 돌봐왔다. 주로 '오얏상'(おやっさん일본어)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본명은 최종화에서야 밝혀진다. 젊은 시절에는 모험가였다고 하며, 손님들에게 모험담을 들려주는 것을 좋아한다. 쿠우가에 대한 신문 기사를 열심히 스크랩하는 등 미확인 생명체 사건에 큰 관심을 보이지만, 유스케가 바로 그 쿠우가라는 사실은 이야기 후반부까지 전혀 눈치채지 못한다.
: 타마사부로의 조카. 17세. 교토부 출신으로 간사이 사투리를 사용한다. 배우가 되기 위해 상경하여 '포레포레'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유스케에게 첫눈에 반해 적극적으로 호감을 표현하며, 자신을 '고다이 유스케 팬클럽 회원 제1호'라고 칭한다. 연기 스승을 그론기에게 잃는 아픔을 겪지만, 유스케의 격려로 극복하고 배우의 꿈을 향해 나아간다. 유스케가 쿠우가라는 사실은 알지 못한다.
: 루마니아 출신의 조난 대학 대학원생. 27세. 사쿠라코와 같은 고고학 연구실 소속으로, 발굴 조사를 전문으로 한다. 고우람의 파편 연구 등을 통해 경찰 수사에 협력한다. 일본 문화에 익숙하며 특히 우메보시(매실 장아찌)를 매우 좋아한다. 에노키다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 때문에 힘들어하는 그녀를 진심으로 응원한다.
3. 2. 그론기
グロンギ|그론기일본어는 인간과 거의 같은 혈액 구조를 가진, 인류와 매우 가까운 형태의 초고대 전투 종족이다. 그러나 잔혹하고 호전적인 성격 탓에 고대의 린트 문명의 전사 쿠우가에 의해 봉인되었다. 2000년 나가노현의 쿠로가오카 유적 발굴과 함께 현대에 약 200여 개체가 부활했고, 경찰과 사회에서는 '미확인 생명체'(未確認生命体|미카쿠닌 세이메이타이일본어)로 불린다.
평상시에는 인간과 같은 모습으로 활동하지만, 각자 몸 어딘가에 자신의 근원이 되는 동식물이나 곤충의 타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동식물의 힘을 가진 괴인체로 변신할 수 있다. 복부에는 쿠우가의 영석 아마담과 유사한 '''마석 게브론'''이 박혀 있어 인간을 훨씬 능가하는 신체 능력과 방어력을 지닌다. 쿠우가의 필살기에 의해 쓰러지면, 대부분 봉인 에너지가 게브론으로 전달되어 몸에 '봉인'을 뜻하는 린트 문자가 나타나며 폭발한다.
그론기 사회는 N·다그바·제바를 정점으로 '''고(ゴ)''', '''메(メ)''', '''즈(ズ)'''의 계급으로 나뉘며, 계급에 따라 괴인체일 때 착용하는 벨트 '''게드루드'''의 버클이나 장식품의 색과 종류가 다르다. 이들은 린트(현대 인류)를 대상으로 '''게겔'''(ゲゲル|게임일본어)이라는 살인 게임을 벌인다. 게겔은 진행역인 '''라(ラ)''' 집단의 지휘 아래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도구 제작을 담당하는 '''누(ヌ)''' 집단, 최하위 계급인 '''베(ベ)''' 집단이 존재했으나, 베 집단은 게겔 참가 자격을 얻지 못하고 다그바에게 살해당했다.
그론기는 고유 언어인 '''그론기어'''를 사용하며, 구진법을 쓴다. 개체 차이는 있지만 지능이 높아 단기간에 일본어나 운전, 인터넷 등을 습득할 수 있다. 그들은 인간을 단지 게겔의 대상으로만 여기며, 쿠우가조차 게겔의 장애물 정도로 인식한다. 창고, 폐허, 식물원 등 인적이 드문 곳을 아지트로 삼아 활동한다.
'''게겔'''은 정해진 시간 안에 특정 방식으로 일정 수의 인간을 살해하는 게임이다. 즈 집단은 라 집단이 정한 규칙에 따르고, 메 집단은 스스로 목표를 정한다. 살해 인원수는 '''도도조'''(판)와 '''구세파'''(팔찌), 또는 '''바군다다'''(주판)로 계산한다. 게겔 성공 시 상위 계급으로 승격할 수 있다.
고 집단은 '''게리자기바스 게겔'''(ゲリザギバスゲゲル|준결승 게임일본어)을 진행하는데, 이는 무기 사용이 필수이며 각자 정한 조건에 맞는 대상만을 살해하는 방식이다. 살해 인원수 계산은 라・돌도・구가 담당한다. 게리자기바스 게겔의 승자는 그론기의 정점인 N·다그바·제바에게 도전할 권리, 즉 '''자기바스 게겔'''(ザギバスゲゲル|결승 게임일본어)에 참여할 자격을 얻는다. 여기서 승리하면 다그바의 힘을 계승하여 "궁극의 어둠"이라 불리는 대량 학살을 실행하게 된다.
3. 2. 1. 주요 그론기
: 미확인 생명체 제0호(B군 제13호)로 분류되는 하늘가재종 그론기이다. "하얀 어둠", "궁극의 어둠을 가져오는 자"로 불리며 모든 그론기를 지배하는 존재이다. 인간 모습은 천진난만한 미소를 띤 백색 옷의 청년이지만, 살인이나 파괴를 "놀이"로 여기는 잔혹한 성격을 가졌다. 스스로 부활시킨 약 200마리의 그론기 중 절반 이상을 "정리"라는 명목으로 살해했으며, '자기바스 게겔'(최종 게임)을 준비하기 위해 3만 명 이상의 인간을 학살했다. 부활 초기에는 거대한 불완전체였으나, 이 상태로도 쿠우가 페가수스 폼을 압도하여 변신을 해제시키고 쇠약하게 만들 정도의 강력한 힘을 지녔다. 자신에게 반역한 즈 고오마 그 궁극체도 순식간에 제거했다. 이후 벨트 수복을 마치고 쿠우가의 얼티메이트 폼과 동등한 힘을 가진 완전체가 되었으며, 초자연 발화 능력 등 다양한 초능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최종 결전에서는 유스케와 서로의 영석을 파괴하며 변신이 풀릴 때까지 격렬한 육탄전을 벌인 끝에 사망했다.
: 미확인 생명체 제3호(B군 2호)로 분류되는 박쥐종 그론기이다. '게겔'(인간 살육 게임) 시작 전에 살인을 저지르는 규칙 위반으로 참가 자격을 잃고 다른 그론기들에게 조롱받았다. 주로 라 바르바 데의 하인으로 활동하며, 햇빛에 약해 검은 코트와 우산을 애용한다. 게겔 참가 자격이 "메" 집단으로 넘어간 후에도 참여를 갈망했다. 다그바의 벨트 파편을 회수하라는 명령을 받았을 때 일부를 빼돌려 자신의 육체를 강화하여 강화체와 궁극체로 변모했으며, 강화체가 된 후에는 햇빛 아래에서도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다그바에 의한 하급 괴인 "정리"를 피하고자 반기를 들었으나, 결국 다그바에게 제거당했다.
: 미확인 생명체 제46호(B군 11호)로 분류되는 투구벌레종 그론기이다. "고" 집단 최강의 괴인으로, 자신을 "파괴의 카리스마"라고 칭한다. 인간 모습은 군복 차림의 과묵한 남자이다. 바르바에게 반역한 고오마 강화체를 제압할 정도의 전투력을 갖췄다. 쿠우가와의 격전 끝에 어메이징 마이티 폼으로 변신한 쿠우가에게 패배하여 폭사했다.
: 미확인 생명체 B군 제1호로 분류되는 장미종 그론기이다. 인간 모습은 장미 문신을 한 미녀로, 게겔의 진행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반지 형태의 열쇠를 괴인의 벨트에 꽂아 게겔 시작을 허가하고, 제한 시간이 지나면 폭발하는 장치를 작동시킨다. 작중에서 괴인체 모습은 등장하지 않았다. 자신에게 총을 겨눈 이치죠에게 "이번 쿠우가는 결국 다그바와 같아질 것이다" 또는 "린트(인류)가 변했다" 등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다그바가 유일하게 살해하지 않은 그론기였으나, 이치죠가 쏜 강화 신경 단열탄에 여러 발 맞고 미소를 보이며 사망했다. 시신은 바다로 떨어져 발견되지 않았다.
: 미확인 생명체 제47호(B군 9호)로 분류되는 콘도르종 그론기이다. 인간 모습은 옷으로 얼굴을 가린 기묘한 차림의 남자이다. '게리자기바스 게겔'(준결승 게임) 시 '바군다다'라는 주판 형태의 카운터를 사용하여 "고" 집단의 복잡한 게겔이 규칙대로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후 경찰이 쏜 신경 단열탄에 맞아 사살되었다.
: 미확인 생명체 B군 14호로 분류되는 도롱뇽종 그론기이다. 작중에서 괴인체 모습은 확인되지 않았다. 인간 모습은 선글라스를 쓴 노인으로, 그론기들이 사용하는 무기 제작이나 고 바다 바의 오토바이 '바기브손' 정비 등 후방 지원 역할을 담당했다. 다그바의 벨트 수복 작업을 완료한 후, 다그바에게 살해당했다.
4. 제작
1996년경부터 가면라이더 TV 시리즈 부활 기획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울트라 시리즈를 방영했던 마이니치 방송 제작, TBS 계열 토요일 저녁 6시 시간대 방영을 목표로 하기도 했으며, 초기 제목으로는 '가면라이더 XV (크로스보이)', '가면라이더 카와카미'[4], '가면라이더 가이아' 등이 거론되었다. 여러 명의 라이더를 등장시키는 아이디어는 논의 과정에서 한 명의 라이더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는 '폼 체인지' 콘셉트로 발전했다. 하지만 마이니치 방송과의 협상이 결렬되면서, 당시 토에이의 특촬 프로그램 『타올라라!! 로보콘』을 방영 중이던 TV 아사히로 제작 방송국이 변경되었다. 오랜 공백기로 인해 '가면라이더' 브랜드가 과거의 것으로 여겨졌기에 TV 아사히 측은 처음에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가타 산시로 캐릭터의 인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초대 가면라이더의 후지오카 히로시가 연기한 이 캐릭터는 가면라이더의 인지도를 다시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5], 프로듀서 스즈키 타케유키는 이것이 쿠우가 탄생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고 언급했다.[6] 또한 프로듀서 타카데라 나리키는 프라이즈 게임 경품으로 가면라이더 관련 상품의 매출이 증가한 것을 주목하며, 이는 과거 팬들이 부모가 되어 자녀와 함께 즐기는 '2세대 팬' 현상의 시작이었다고 분석했다.
타카데라 프로듀서는 완전히 새로운 가면라이더를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다. 그의 초기 기획안 '가면라이더 가디언'은 전통적인 영웅상이 강조되었으며, 주인공 고다이 유스케의 캐릭터 설정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이후 이시노모리 프로가 제출한 '가면라이더 오티스' 기획안은 공포와 비극성이 강하다는 이유로 방향성 재검토가 요구되었고, 타카데라는 이를 계기로 작품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고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기존 라이더의 틀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가면라이더다움'을 살리는 방법을 모색했다. 타카데라가 생각한 '가면라이더다움'은 이형(異形)의 영웅 곁에 타키 카즈야나 타치바나 토베이 같은 현실적인 인물이 함께하는 '인간 대 인간'의 구도였고, 이는 주인공 유스케와 파트너 이치죠 카오루의 관계로 작품에 반영되었다. 한편, 쇼와 라이더의 핵심 설정이었던 '개조 인간' 요소는 의료 기술(장기 이식 등)의 발달로 현실성이 떨어지고 어두운 이미지를 피하려는 토에이의 의도에 따라 배제되었으며, 이 결정은 이후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에도 영향을 미쳤다.
"쿠우가"(한자 표기 '''공아''')라는 이름은 이시노모리 프로 사장 오노데라 아키라가 사슴벌레의 일본어 발음에서 착안하여 "한자로 쓸 수 있는 이름"이라는 제안에 따라 명명했다. 가면라이더 쿠우가 상표는 1999년 11월 8일 토에이에 의해 등록되었다.[7][8]
본 작품은 가면라이더 BLACK RX 종료 이후 약 10년 4개월 만에 제작된 TV 시리즈이자, 가면라이더 J 이후 6년 만의 신작 가면라이더이며,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쇼와 라이더와는 세계관을 공유하지 않지만, 대사나 설정 곳곳에 쇼와 라이더에 대한 오마주가 담겨 있다. 쇼와 라이더와의 주요 차이점으로는 '개조 인간', '세계 정복을 노리는 악의 비밀결사', '전투원' 설정이 폐지되었고, 극 중에서 '가면라이더'라는 명칭이 직접 사용되지 않는 점 등이 있다.
제작 과정에서는 현실감과 설정의 정합성을 중시하여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졌다. 적대 세력인 그론기 부족에게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부여하고, 쿠우가가 경찰과 협력하며, 변신이나 필살기 사용 시 기술명을 외치지 않는 등의 설정이 도입되었다. 또한, 주변 인물들의 심리 변화나 사회가 히어로와 악의 존재를 인지해가는 과정을 상세히 묘사하는 등, 일반적인 드라마의 관점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이러한 깊이 있는 서사를 담기 위해 기본적으로 전후편 '2화 1 에피소드' 형식을 채택했으며, 이 형식은 후속 시리즈에도 계승되었다.
기술적으로는 토에이 최초로 전편이 하이비전(HDTV, 1080i)으로 촬영된 가면라이더 시리즈 작품이다. 당시로서는 드물게 16:9 화면 비율(레터박스)로 방영되었으나, 실제 방송 송출 및 비디오 출시(홈 비디오 포함)는 표준 화질로 다운스케일되었다. 기존의 애프터 레코딩 방식 대신 동시 녹음 방식을 채택하여 현장감을 높였다. 이는 비디오 촬영과 동시 녹음에 익숙하지 않던 스태프들에게 초기에는 어려움을 주어 촬영 지연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으나[32], 녹음부 스태프의 간청과 다른 스태프들의 협력으로 유지될 수 있었다. 하이비전 촬영으로 인해 슈트의 질감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고무 소재를 사용하고 슈트 액터의 몸에 밀착시켜 주름을 없애는 등 조형에도 공을 들였다. 괴인의 슈트는 촬영용과 액션용 두 종류가 준비되었다.
극 중 장면 전환 시 시각과 장소를 화면 하단에 표시하는 연출을 사용했으며, 등장 지명은 실존하는 곳으로 한정하고 시간 경과 묘사도 현실성을 고려해 면밀하게 계산되었다. 제2화의 교회 화재 장면이나 구로가타케 유적 세트 등에는 상당한 예산이 투입되었다. 타카데라 프로듀서는 비디오 촬영 도입으로 필름 현상 비용 등이 절감되어, 그 예산을 미술 세트에 투자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밝혔다[33] 유적 세트는 영화 수준의 규모로 제작되었다.
리얼리티를 중시하는 노선은 일부 묘사가 생생하거나 과격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특히 어린이 시청자를 둔 부모들로부터 항의가 제기되기도 했다. 스폰서 측에서도 '가면라이더' 명칭 미사용이나 인간에 가까운 그론기 디자인 등에 대해 불만을 표했고, 토에이 내부에서도 작품 스타일 변경 지시가 있었으나, 타카데라 프로듀서는 TV 아사히의 시미즈 유미 프로듀서와 각본가 이노우에 토시키 등의 지원을 받아 일관된 제작 방침을 유지했다.
상업적으로는 변신 벨트 등이 큰 인기를 얻었지만, 드라마를 중시한 나머지 전투 장면이 짧거나, 최종 형태인 얼티메이트 폼의 등장이 극 종반(다음 해 1월)까지 늦어지는 등 판촉 면에서는 이례적인 전개를 보였다. 심지어 스폰서에게도 사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형태(어메이징 마이티)가 등장하여 급하게 상품이 개발, 발매되는 일도 있었다. 최종화(제49화)에서는 A파트와 B파트 사이에 CM을 삽입하지 않고 엔딩까지 방송했으며, 변신 후의 주역 히어로나 전투 장면이 거의 없고 주인공 고다이 유스케의 등장도 극히 적었다.
결말은 주인공 유스케가 최종 보스 N-다그바-제바와의 격전 끝에 목숨을 잃는 비극적인 안도 고려되었다. 이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서였지만, 그 역시 폭력을 행사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타카데라를 비롯한 제작진은 "미래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꿈을 주는 프로그램에서 그 결말은 너무 가혹하다"는 결론에 이르러, 유스케가 모험을 마치고 쿠바로 여행을 떠나는 현재의 결말로 결정되었다.
주요 제작진
- 원작 - 이시노모리 쇼타로
- 연재 - 텔레비전 매거진, 테레비 쿤, 유치원, 메바에, 즐거운 유치원, 오토모다치
- 슈퍼바이저 - 오노데라 아키라(이시노모리 프로덕션)
- 제작 총괄 - 스즈키 타케유키 (49)
- 프로듀스 - 시미즈 유미(TV 아사히), 타카데라 나리키·스즈키 타케유키(13-48)(토에이)
- 시리즈 구성 - 아라카와 토시히사 (13-49)
- 문예 - 오오이시 신지, 무라야마 케이
- 각본 - 아라카와 토시히사, 이노우에 토시키, 키다 츠요시, 무라야마 케이, 타케나카 키요시
- 액션 감독 - 카네다 오사무, 야마다 카즈요시(재팬 액션 클럽)
- 감독 - 이시다 히데노리, 와타나베 카츠야, 나가이시 타카오, 스즈무라 노부히로, 카네다 오사무
- 음악 - 사하시 토시히코
- 촬영 - 이노쿠마 마사오, 오가타 켄이치
- HD 캠 지원 - 오가타 켄이치
- 조명 - 다이호 가쿠, 토자와 히데시
- 미술 - 키무라 미츠유키, 오시마 슈이치
- 음향 - 아토다이라 준이치, 아야타카 코, 타오카 히비키
- 편집 - 나가타 나오키(시네·알파)
- MA - 와타나베 노리오
- 선곡 - 타니야마 켄지(에이코)
- 음향 효과 - 오노 요시히코(오이즈미 온에이)
- 기록 - 후카자와 이즈미, 모리 미도리, 타카야마 히데코, 쿠리하라 세츠코
- 조감독 - 스즈무라 노부히로, 타무라 코조, 사이토 히로시, 후쿠시마 코지, 키무라 시게히토, 타자와 유이치, 사이토 시게츠구, 시바자키 타카유키, 카리야마 슌스케
- 조연 - 타카기 토모요시(라이즈)
- 홍보 - 호사카 마사키, 오다 에리(TV 아사히)
- 프로듀스 보조 - 요코즈카 타카히로(1-8,49), 시라쿠라 신이치로 (24-49)
- 캐릭터 디자인 - 이이다 코지, 아베 타쿠야, 노나카 고, 아오키 테츠야, 스즈키 카즈야, 타케우치 카즈에
- 제작 주임 - 히가시 마사노부, 코사코 스스무, 토미타 유키히로
- 제작 담당 - 누마오 카즈노리
- 제작 데스크 - 아오야기 유코
- 기술 프로듀스 - 후지무라 나오미치, 류스기 료지
- OP&ED 감독 - 코후지 코이치
- VFX - 일본 영상 크리에이티브, 마린 포스트, 큐텍
- 기술 협력 - CRAZY TV, 소니 마케팅, 토에이 화학 TOVIC
- CG 협력 - 다이킨 공업 전자 시스템 사업부
- 조명 협력 - 쿄리츠
- 제작 - TV 아사히, 토에이 주식회사, ASATSU-DK
메인 작가로는 타카데라 프로듀서와 오랜 인연이 있는 아라카와 토시히사가 참여했으며, 서브 작가로 이노우에 토시키 등이 힘을 보탰다. 문예 담당으로는 특촬 잡지 우주선 편집자 출신이자 TV 챔피언 'TV 히어로 왕 선수권' 우승 경력의 오오이시 신지가 영입되어 치밀한 히어로상과 스토리라인 구축에 기여했다. 캐릭터 디자인에는 당시 무사시노 미술 대학 학생이었던 아베 타쿠야가 기획 검토 단계부터 발탁되어 고대 문자 설정과 그론기 괴인의 기본 디자인을 만들었다. 아베는 학업 문제로 중간에 하차했으나, 플렉스와 이시노모리 프로덕션 소속의 아오키 테츠야, 이이다 코지 등 베테랑 디자이너들이 작업을 이어받았고, 아베는 최종 보스 은 다그바 제바의 디자인을 담당하며 복귀했다. 메인 감독은 이시다 히데노리가 처음으로 맡았으며, 전대물 시리즈에서 활동하던 와타나베 카츠야, 나가이시 타카오 등 타카데라와 인연이 있는 연출가들도 참여했다. 본래 이시다는 파일럿 감독이 아니었으나, 예정되었던 감독과의 의견 충돌로 해당 감독이 하차하면서 급하게 파일럿 연출을 맡게 되었다고 한다. 이 여파로 인한 과중한 스케줄 탓인지 이시다는 촬영 중 쓰러지기도 했으며, 일부 장면은 치프 조감독인 스즈무라 노부히로가 연출을 대행하기도 했다.
5. 방영 목록
각 에피소드의 제목은 2개의 한자로만 쓰여져 있다.
# 부활 (復活|훗카츠일본어)
# 변신 (変身|헨신일본어)
# 도쿄 (東京|토쿄일본어)
# 질주 (疾走|싯소일본어)
# 거리 (距離|쿄리일본어)
# 청룡 (青龍|세이류일본어)
# 상심 (傷心|쇼신일본어)
# 사수 (射手|샤슈일본어)
# 남매 (兄妹|쿄마이일본어)
# 치열 (熾烈|시레츠일본어)
# 약속 (約束|야쿠소쿠일본어)
# 은사 (恩師|온시일본어)
# 의심 (不審|후신일본어)
# 전조 (前兆|젠초일본어)
# 장갑 (装甲|소코일본어)
# 신조 (信条|신조일본어)
# 임전 (臨戦|린센일본어)
# 상실 (喪失|소시쓰일본어)
# 영석 (霊石|레이세키일본어)
# 웃는 얼굴 (笑顔|에가오일본어)
# 암약 (暗躍|안야쿠일본어)
# 유희 (遊戯|유기일본어)
# 불안 (不安|후안일본어)
# 강화 (強化|쿄카일본어)
# 방황 (彷徨|호코일본어)
# 자신 (自分|지분일본어)
# 파문 (波紋|하몬일본어)
# 해명 (解明|카이메이일본어)
# 기로 (岐路|키로일본어)
# 운명 (運命|운메이일본어)
# 응전 (応戦|오센일본어)
# 장해 (障害|쇼가이일본어)
# 제휴 (連携|렌케이일본어)
# 전율 (戦慄|센리츠일본어)
# 애증 (愛憎|아이조일본어)
# 착종 (錯綜|사쿠소일본어)
# 접근 (接近|셋킨일본어)
# 변전 (変転|헨텐일본어)
# 고마 (強魔|고마일본어)
# 충동 (衝動|쇼도일본어)
# 억제 (抑制|요쿠세이일본어)
# 전장 (戦場|센조일본어)
# 현실 (現実|겐지츠일본어)
# 위기 (危機|키키일본어)
# 강적 (強敵|쿄테키일본어)
# 불굴 (不屈|후쿠츠일본어)
# 결의 (決意|케츠이일본어)
# 쿠우가 (空我|쿠가일본어)
# 유스케 (雄介|유우스케일본어)
전편을 통틀어 부제는 한자 2자로 통일되었으며, 방송 회수는 "EPISODE"로 표기된다. 아방 타이틀 전과 각 화 종료 시에는 린트 문자가 표시되며, 종료 시의 배경에는 일부를 제외하고 해당 화에서 활약한 폼의 색상이 사용되는 연출이 이루어졌다.
6. 주제가
- '''여는 노래 (오프닝 테마)'''
《가면 라이더 쿠우가!》 仮面ライダークウガ!|카멘라이다 쿠우가!일본어
- *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
- * 작곡 및 편곡: 사하시 토시히코
- * 노래: 타나카 마사유키
- * 사용: 제1화부터 제33화, 제47화부터 최종화까지는 1절 가사가 사용되었고, 제34화부터 제46.5화까지는 2절 가사가 사용되었다. 영상은 극의 전개에 맞춰 수시로 변경되었다.
- * 버전: 총 3가지 버전의 인트로가 존재한다.
- ** A타입: 노이즈 느낌의 신시사이저 소리가 포함된 버전이다. 싱글 음반에 수록되었으며, 영상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컴필레이션 앨범에는 주로 이 버전이 실린다.
- ** B타입: 노이즈 느낌의 신시사이저 소리가 없는 버전이다. 앨범 음반에 수록되었으며, 영상에서는 기본 형태로 사용되었다.
- ** C타입: 일부 에피소드에서 사용된 단축 버전이다. CD로는 발매되지 않았다.
- * 영어 버전: '''THE MASKED RIDER KUUGA! 〜가면라이더 쿠우가! 영어 버전〜''' (번역: T-CRANE, 코러스: MICKEY T.)이 존재한다.
- '''닫는 곡 (엔딩 테마)'''
- * 《푸른 하늘이 되네》 青空になる|아오조라니 나루일본어
- *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
- * 작곡 및 편곡: 사하시 토시히코
- * 노래: 하시모토 진
- * 사용: 제1화부터 제33화, 제47화, 제48화에서는 1절 가사가 사용되었고, 제34화부터 제46.5화까지는 2절 가사가 사용되었다. 최종화에서는 거의 풀 사이즈로 사용되었다.
- * 영상: 기본적으로 모든 화에서 동일한 영상이 사용되었으나, 제46.5화와 최종화에서는 각각 다른 영상이 사용되었다.
- * 기타: 별도의 다른 버전은 제작되지 않았지만, TV 방영 길이에 맞춰 인트로 부분을 편집한 버전이 일부 컴필레이션 앨범에 수록된 적이 있다.
- * 영어 버전: '''Into the blue sky 〜푸른 하늘이 되다 영어 버전〜''' (번역: T-CRANE, 코러스: MICKEY T.)이 존재한다.
7. 한국 방영 및 영향
이 시리즈는 주연 배우 오다기리 죠로 인해 오다기리 효과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매력적인 남성 배우나 캐릭터를 기용하여 예상보다 많은 여성 시청자를 끌어들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제작진은 《가면라이더 쿠우가》가 주요 시청자층인 아이들뿐만 아니라, 그들의 어머니와 같은 30대 여성 시청자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현상은 오다기리 죠의 인지도를 크게 높였고, 후속작인 《가면라이더 아기토》에서는 매력적인 남성 배우 세 명을 주연으로 기용하여 이 효과를 이어가려 했다. 《가면라이더 아기토》 역시 많은 여성 시청자를 끌어모았으나, 일부 기존 남성 팬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다.[13][14]
작품 자체도 높은 평가를 받아 2002년 일본 성운상 드라마틱 프레젠테이션 부문을 수상했다.[12]
주인공 고다이 유스케 역의 캐스팅 과정에서는 어려움이 있었는데, 오디션 참가자 다수가 기존 특촬 히어로의 전형적이고 과장된 연기를 선보였기 때문이다. 마지막 오디션에 참가한 오다기리 죠는 특촬물에 대한 거부감을 숨기지 않았는데, 오히려 이런 솔직함이 기존과는 다른 현실적인 히어로를 원했던 제작진의 의도와 맞아떨어졌다. 프로듀서 다카데라 나리키는 '기존의 가면라이더와는 다른,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고 싶으니 힘을 빌려달라'고 설득했고, 오다기리 죠는 결국 출연을 수락했다. 한편, 이치죠 카오루 역의 카츠라야마 신고는 원래 고다이 유스케 역으로 내정되었으나, 본인이 이치죠 카오루 캐릭터에 강하게 끌려 역할을 바꾸게 되었다.
오다기리 죠와 카츠라야마 신고는 남성 아이돌 잡지에 등장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는 '미남 히어로' 붐을 일으켜 기존 특촬 팬이 아닌 새로운 시청자층을 끌어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8. 평가 및 비판
가면라이더 BLACK RX 종료 이후 약 10년 만에 제작된 텔레비전 시리즈이자,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서, 기존의 특촬물 히어로 작품과는 다른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다. 쇼와 라이더 시리즈와는 세계관을 일신하면서도, 쇼와 라이더에 대한 오마주를 담았다. 가장 큰 변화는 "개조인간" 설정 폐지였다. 당시 장기 이식 등 의료 기술의 발달로 "개조 인간"이라는 표현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고, 제작사 토에이 역시 어두운 과거를 가진 주인공 설정을 피하고자 했다. 이는 이후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에도 계승되었다.
작품은 현실감과 정합성을 중시하여 여러 새로운 설정을 도입했다. 적대 세력인 "그론기"는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가진 존재로 그려졌으며, 주인공 쿠우가는 일본 경찰과 협력하여 싸우고, 기술명을 외치지 않는 등 기존 히어로물의 클리셰를 탈피했다. 또한, 주변 인물들의 변화나 사회가 히어로와 악의 존재를 인지해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단순한 히어로 드라마를 넘어 일반 드라마의 시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깊이 있는 서사를 위해 기본적으로 2화 완결 에피소드 형식을 채택했으며, 이 형식 역시 후속 시리즈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참신한 시도와 깊이 있는 이야기는 호평을 받았다. 특히, 괴인 출현이라는 비일상적인 사건 속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겪는 불안과 고뇌를 현실적으로 그려내며, "괴인 출현 시대를 포착한 다큐멘터리"와 같은 양상을 띠었다. 예를 들어, "이런 시대에 아이를 낳아도 괜찮을까" 고민하는 보육사, 일 때문에 아들의 수업 참관에 가지 못하는 연구자 등의 모습은 히어로물이라는 틀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를 시청자에게 던졌다. 평론가 이노우에 신이치로는 그론기를 단순한 악의 조직이 아닌, 다른 가치관을 가진 공포의 구현으로 그린 점이 획기적이었으며, 이는 후속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기초가 되었다고 평가했다[38]. 2002년에는 특촬 작품으로는 이례적으로 제33회 성운상 영화연극 부문・미디어 부문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상업적으로도 변신 벨트 완구가 큰 인기를 얻는 등 성공을 거두었으나, 드라마를 중시한 나머지 전투 장면이 짧거나, 최종 폼의 등장이 늦어지는 등 완구 판촉 면에서는 이례적인 전개를 보이기도 했다.
한편, 작품의 폭력적인 묘사와 어두운 분위기에 대한 비판과 다양한 해석도 존재한다. 인간과 유사한 외모를 가졌지만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살인을 반복하는 그론기의 모습은 "가장 무서운 것은 괴물이 아닌, 바로 옆에 있는 인간일 수 있다"는 현실 사회의 공포를 반영한다는 해석(우로부치 겐)이 있다. 특히, 미성년자 범죄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했던 시기에 방영된 제34, 35화는 소년 그론기 '고・자라지・다'가 쾌락적으로 학생들을 살해하고, 이에 분노한 쿠우가가 격렬한 폭력을 행사하는 장면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되었다. 이를 두고 시라쿠라 신이치로는 "살인자는 미성년자라도 엄벌에 처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해석했으며[34], 고쿠분 코이치로 역시 "징악의 측에 강하게 동일화된 어른의 작위"를 느꼈다고 비판적으로 언급했다.
그러나 키리토시 리사쿠는 그론기를 단순히 인간 사회 내부의 문제적 존재로 보기보다, 크툴루 신화처럼 이해할 수 없는 미지의 공포와 괴물에 대한 외경심을 다루려는 시도로 해석하며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 또한, 시라쿠라가 쿠우가를 "관리 질서 사회를 지향"하고 "시민 도덕의 체현자"로 본 반면, 키리토시는 히어로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 타인의 문제에 다가서는 모습에 주목했다. 에비하라 유타카는 작품이 폭력으로 폭력을 제압하는 정의의 모순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리기보다, 그 모순을 끌어안은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오히려 정의의 어려움이라는 메시지를 던진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작품의 정의관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은 후속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가 나아갈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었다.
방송 초기 시청률은 다소 부진했으나 점차 안정되었고, 30대 남녀를 중심으로 시작된 팬덤은 고등학생 소년층으로 확장되었다. 주연 배우 오다기리 조 등의 매력으로 인해 어머니 시청자층이나, 주인공과 동료 경찰관의 관계에 주목하는 부녀자 팬까지 확보하는 등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오다기리 효과). 당시 보급되던 인터넷 공식 홈페이지에는 최종회 방영일에 27만 건의 접속이 몰리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다.
참조
[1]
웹사이트
002 仮面ライダークウガ アマダ トレーディングコレクション第1弾
https://muuseo.com/t[...]
2023-01-19
[2]
웹사이트
003 仮面ライダークウガ アマダ トレーディングコレクション第1弾 第2弾
https://muuseo.com/t[...]
2023-01-19
[3]
웹사이트
001 仮面ライダークウガ アマダ トレーディングコレクション第1弾
https://muuseo.com/t[...]
2023-01-19
[4]
트위터
高寺成紀の怪獣ラジオ @kaiju_cfm 2015年9月5日のツイートより
https://twitter.com/[...]
2015-09-05
[5]
뉴스
日本経済新聞
1999-04-28
[6]
뉴스
朝日新聞
2000-01-28
[7]
웹사이트
戦わなければ、生き残れない! 仮面ライダーの商標チェック&出願戦略 | Toreru Media
https://toreru.jp/me[...]
2021-05-04
[8]
웹사이트
商標「仮面ライダークウガ」の詳細情報
https://search.torer[...]
[9]
웹사이트
Kamen Rider Kuuga Manga to Launch in Monthly Hero's Magazine
https://www.animenew[...]
2014-10-02
[10]
웹사이트
All Manga in Monthly Hero's Magazine Move Online (Updated)
https://www.animenew[...]
2020-10-30
[11]
웹사이트
Exclusive: Titan Comics' Titan Manga Imprint Licenses Atom: The Beginning, Kamen Rider Kuuga Manga
https://www.animenew[...]
2022-04-28
[12]
웹사이트
星雲賞受賞作・参考候補作一覧
http://prizesworld.c[...]
2016-03-25
[13]
서적
The Dorama Encyclopedia: A Guide to Japanese Drama Since 1953
Stone Bridge Press
2003
[14]
서적
Anime: A History
British Film Institute, Palgrave Macmillan
2013
[15]
간행물
週刊 仮面ライダー オフィシャルデータファイル
2010-08-24
[16]
웹사이트
仮面ライダークウガ 第48話
https://web.archive.[...]
2009-02-04
[17]
웹사이트
【EPISODE 47】 「決意」
http://www.tv-asahi.[...]
仮面ライダークウガ 東映公式サイト
2016-02-19
[18]
웹사이트
ン・ダグバ・ゼバ
http://www.tv-asahi.[...]
仮面ライダークウガ 東映公式サイト
2016-02-19
[19]
트위터
髙寺成紀2020年11月14日22時08分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0-11-14
[20]
트위터
髙寺成紀2020年11月28日22時08分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0-11-28
[21]
웹사이트
古代の戦士
https://www.kamen-ri[...]
東映
2020-12-24
[22]
웹사이트
仮面ライダーW(ダブル) 第22話「還ってきたT/死なない男」
http://www.toei.co.j[...]
仮面ライダーW 東映公式サイト
2011-05-05
[23]
웹사이트
福沢博文
http://www.redaction[...]
株式会社レッド・エンタテインメント・デリヴァー
2011-04-27
[24]
서적
仮面ライダー THE NEXT公式ブック 21st CENTURY MASKER WORLD
ジャイブ
2007
[25]
서적
JAE NAKED HERO
太田出版
2010-03-08
[26]
웹사이트
仮面ライダークウガ 第33話
http://tvarc.toei.co[...]
仮面ライダークウガ 東映公式サイト
2011-05-05
[27]
웹사이트
『ライダー!』
https://ameblo.jp/mo[...]
2023-12-31
[28]
음반
仮面ライダーアギト オリジナル・サウンドトラック
日本コロムビア
2001
[29]
트위터
高寺成紀の怪獣ラジオ @kaiju_cfm 2015年9月5日のツイートより
https://twitter.com/[...]
2015-09-05
[30]
뉴스
日本経済新聞
1999-04-28
[31]
뉴스
朝日新聞
2000-01-28
[32]
웹사이트
BIGLOBEポータル内旧コンテンツ「お仕事DB」第33回・鈴村展弘インタビュー記事より
https://web.archive.[...]
2014-02-08
[33]
서적
高寺解体新書
2010-09
[34]
서적
語れ!仮面ライダー
ベストセラーズ
2013-04-23
[35]
웹사이트
<5.12イベントパンフレット>とは
http://www.toei-vide[...]
東映ビデオ
2013-01-13
[36]
웹사이트
仮面ライダークウガ 特別篇
http://www.toei-vide[...]
東映ビデオ
2013-01-13
[37]
간행물
東映チャンネル INFORMATION
辰巳出版
2002
[38]
간행물
永遠の平成仮面ライダーシリーズ 語ろう!555 剣 響鬼
カンゼン
2015-01-15
[39]
웹사이트
映画『ガッチャード』にクウガ&電王&W&オーズ参戦!レジェンド平成仮面ライダーが集結
https://www.cinemato[...]
2024-07-14
[40]
간행물
てれコロコミック 2001年9月号増刊
[41]
웹사이트
上山道郎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Twitter
2015-01-04
[42]
웹사이트
別冊兄弟拳blog クウガまんが
http://mueyama.blog1[...]
上山道郎
2015-01-04
[43]
웹사이트
仮面ライダー555 公式サイト
https://web.archive.[...]
2009-01-29
[44]
웹사이트
大魔神カノン・オールナイトイベント
http://3daysboy.blog[...]
MASHのBLOG
2010-06-27
[45]
웹사이트
特撮&アニメ ヒーロー&ヒロインベスト100
https://web.archive.[...]
テレビ朝日
[46]
웹사이트
쿠우가라는 이름은 사슴벌레과에서 유래하였으며, 한자어 공아(空我)로도 표기한다.
http://www.hani.co.k[...]
[47]
문서
왕뱀을 가리키는 일본 단어 오자에서 유래했다. 이후 "가면라이더 오자"는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4호 라이더로 등장한다.
[48]
문서
가면라이더 쿠우가 초전집에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